PROJECTS

LOCUSKOREA

2024-11 ~ 2025-06

Lead Front-end Developer
ReactNext.jsJavaScriptTypeScriptReact-QueryZustand
AI와 실시간 시스템으로 물류 업무를 재정의한 경험전체 UI/UX 구조 설계 및 프론트엔드 리드 개발

프로젝트 배경

기존 물류 산업에서는 재고 누락·초과·미정리 등의 문제가 당연시되어 왔으며,

WMS 시스템조차 단순 기록 수준에 머물러 예측이나 실시간 대응은 불가능했습니다.

이에, 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예측 모델과 자동 재고 파악 기능을 포함한 통합 SaaS 솔루션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기술적 선택과 전환 이유

Redux / Redux-Saga → React Query + Zustand

기존에는 Redux + Redux-Saga 조합을 통해 전역 상태와 API 비동기 흐름을 통합적으로 관리했으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분리된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Redux의 러닝 커브와 Boilerplate 이슈: 간단한 상태 관리에도 액션/리듀서/사가 파일이 필요해 개발 피로도가 높았고, 초기 설정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었습니다.

React Query 도입 이유: API 요청/응답 로직이 많고, 요청 간 캐싱, 리페치, 로딩 상태 관리가 중요했기 때문에 React Query의 기능이 요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 useQuery를 통한 데이터 캐싱

→ staleTime, refetchOnWindowFocus로 네트워크 최적화

→ error, isFetching, isLoading 등 내장 상태 사용으로 UI 로직 단순화

Next.js 12 → Next.js 15

→ App Router 기반 구조로 전환하여 Layout, Slot, Suspense, Streaming 등 모던 패턴 대응

→ layout.tsx, loading.tsx, error.tsx 구조를 통해 화면 단위의 관리가 훨씬 유연해졌고,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와 서버 컴포넌트를 분리해 SSR 최적화 가능

    기존 Serverless Framework → AWS Amplify

    → Next.js 15를 사용하면서 serverless framework가 더 이상 버전 호환이 되지 않아, 운영 편의성과 최신 프레임워크 지원을 위해 Amplify로 전환.

    → 특히 GitHub 연동을 통한 CI/CD 자동화, 정적 자산 호스팅, 도메인 연결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어, 개발-운영 효율이 크게 향상됨.

맡은 역할

플랫폼 전체 아키텍처 설계 및 UI/UX 기획 주도

WebSocket/LLM 기반 실시간 시스템 구현

물류센터 현장 인터뷰를 통한 사용자 중심 설계

해결한 문제 / 주요 구현 포인트

WMS 시스템의 핵심 기능 분석 후 맞춤형 UI로 재구현

AI 기반 실시간 예측 및 응답 시스템 구현

→ 재고 예측, 수요 예측, 추천 발주 기능 등은 LLM + 실제 입출고 데이터 기반

→ OpenAI API를 활용한 문서/이미지 기반 질문 응답 시스템 도입

현장 작업자의 업무를 돕는 실시간 기능

→ 채팅, 메모(크기 조절·이동·스티커), 송장 발급, 엑셀·바코드 인쇄 등

실제 물류 업무 흐름을 UI에 맞춰 구현

→ 상품 등록 → 입고 처리 → 재고 자동 반영 → 출고 등록 → 송장 출력까지 단일 페이지 내 흐름 구현

TRENSHOW

2024-06 ~ 2024-11

Front-end Developer
ReactNext.jsJavaScriptTypeScriptReduxRedux-Saga
동대문 물류의 복잡한 흐름을 통합된 플랫폼으로 단순화하다전체 UI/UX 구조 설계 및 프론트엔드 리드 개발

프로젝트 배경

동대문 기반의 의류 유통 현장은 사입자, 화주사, 물류센터, 라이더 등 다양한 주체가 엮인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SaaS 시스템은 부재했습니다.특히 WMS가 단순 재고기록용에 머물고 있고, 플랫폼 간 UI/UX 괴리로 작업 효율 저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주체 통합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맡은 역할

Front-End 전담 개발자

6개 플랫폼의 웹/앱 UI/UX 전면 설계 및 개발

React Native 기반의 모바일 & 웹 통합 개발 구조 설계

입고-출고-사입-재고 프로세스 전체 흐름 설계

DCF-WMS

엑셀 업로드/다운로드, 바코드 인쇄 기능을 통해 수작업 감소

기술적으로는 깔끔했지만 현장성과 괴리된 UI로 초기에는 피드백 다수 발생 → 사용자 중심 UX 개선 경험

DCF-CUSTOMER

화주사(고객사)를 위한 입고/출고 관리 웹 서비스

채널톡 연동 통한 CS 대응 시스템 구축

DCF-CREW

물류센터 작업자용 앱

출근 등록, 입/출고 작업, 픽업, 재고 확인 기능 구현

USB 바코드 리더기와 직접 연동해, 단말기에서 바로 작업 처리 가능

단순한 앱이 아닌 하드웨어 연동 앱 설계 경험 확보

DDPICK / RIDER / CUSTOMER

사입 → 배송 → 고객 전달까지의 전 과정을 분리된 앱으로 구현

React Native 기반으로 3개의 앱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개발

실시간 상태 확인, 알림 기능, 픽업 요청까지 모두 앱 내에서 수행

결과 및 성과

앱/Web을 모두 고려한 설계로 개발 및 유지보수 시간 절약

→ React-native webview를 활용 2개월만에 6개 플랫폼 동시 출시

관리자/작업자/고객사/라이더 간 소통 병목 해소

→ 업무 분산 성공

재고처리 속도 30~50% 향상, 실시간 상태 파악 정확도 상승

현장 사용자 피드백 기반 UX 개선

→ 반복 작업 최소화

261HOUSE

2021-12 ~ 2024-06

Front-end Developer
ReactNext.jsJavaScriptTypeScriptReduxRedux-Saga
faav는 시즌성 의류의 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여, 협찬, 구독, 리세일을 결합한 의류 순환 플랫폼

프로젝트 배경

기존 물류 산업에서는 재고 누락·초과·미정리 등의 문제가 당연시되어 왔으며,

WMS 시스템조차 단순 기록 수준에 머물러 예측이나 실시간 대응은 불가능했습니다.

이에, 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예측 모델과 자동 재고 파악 기능을 포함한 통합 SaaS 솔루션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맡은 역할

플랫폼 전체 아키텍처 설계 및 UI/UX 기획 주도

WebSocket/LLM 기반 실시간 시스템 구현

물류센터 현장 인터뷰를 통한 사용자 중심 설계

faav / faav app

시즌성 재고 순환을 위한 실물 구독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인플루언서 협찬 → 세컨핸즈 판매 전환 흐름 설계 및 어드민/앱 전체 구조 개발

패브페이(PaavPay) 간편결제 연동으로 구매 전환 편의성 개선

QR/NFC 결제 시스템 구축 → 팝업스토어와 연동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경험 제공

faav connect

어드민에서 대여/반납 자동 처리 로직 및 상태 관리 구조 설계

택배 송장 등록 및 자동 상태 반영 구현

faav studio

인플루언서 전용 협찬 콘텐츠 등록 및 관리 시스템 개발

AWS Lambda + S3 + CloudFront 기반 이미지 자동 리사이징 시스템 구현 → 해상도에 따라 최적화된 이미지 제공 및 로딩 속도 개선

서버리스 기반 이미지 캐싱 구조로 사용자별 디바이스 대응 최적화

프로젝트 성과

재고 출고율 93% 달성

협찬 → 리세일 전환 구조로 구독→구매 전환율 35% 이상 확보

고객사 전용 어드민 페이지 제공을 통한 B2B 공급망 확장

신규 유저 유입 대비 첫 결제 전환율 약 28% 달성

배운점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듈형 아키텍처 구성 역량 강화

운영팀, 디자인팀과의 협업을 통해 서비스 전체 흐름을 고려한 UI/UX 설계 경험 축적

AWS 기반 이미지 최적화와 비동기 로직 처리 등, 퍼포먼스 중심 커머스 프론트엔드 설계 역량 강화